
청소년기 도덕성 발달의 관련요인 인지적 요인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첫 번째 요인으로 지능을 들 수 있다. Rest(1974)는 지능이 높을 수록 도덕적 추리능력이 더욱 높다고 하였다. 개인의 원리적 도덕지수(P점수: 5~6단계의 도덕점수)는 지능검사 가운 데 사회적 이해 및 도덕적 이해 점수와 r=.60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기사 그리고 Yussen(1976)은 청소년기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단순한 처벌이 나 복종, 인습적인 법과 질서에서 도덕성을 판단하지 않고 점차 원리적 도덕성으로 이행해 나간다고 하였다. 또한 연령의 증가와 함께 타인의 입장이나 조망(perspective)을 더 잘 수용할 수 있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이는 타인에 대한 조망수용능력이 후인습적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

청소년기의 도덕성 청소년기 도덕성에 대한 이론의 개관 청소년기의 도덕성은 아동기와는 질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며, 보다 성숙된 도덕적 사고와 행동을 나타낸다. 청소년기의 도덕성 발달에 대한 주요 이론적 관점들을 먼저 간단히 요약해 보고자 한다.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볼 때,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시작된 초자아의 발달이 계속되며, 도덕적으로 더욱 성숙하게 된다. 도덕적 자아 이상을 지 향하는 부모에 대한 동일시는 계속되며, 양심도 점차 강화되어 사회가 설 정하고 있는 행위 규범을 어겼을 죄책감을 더욱 크게 느끼게 된다. 이 러한 과정에서 두드러진 한 가지 특징은 죄책감을 처리하는 전략이 발달 한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친구나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잘못을 고백함 으로써 죄책감을 줄일 줄 알며, 스스로 자기행..

청소년기 친구관계 친구관계란 두 사람이 비교적 지속적으로 호의적이고 애정적인 감정을 교류하는 것을 말한다. 친구관계와 또래 사이의 인기는 어느정도 중복되는 영역이지만, 두 개념은 다른 현상이다(Olderburg & Kerns, 1997). 친구관계는 친밀감의 수준에서 다양할 수 있는데, 일상적인 친구, 가까운 친구, 가장 친한 친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장 친한 친구의 수는 일반적으로 청소년 초기에 다섯명 정도로 가장 많고,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성인은 평균적으로 한명의 가장 친한 친구와 소수의 가까운 친구가 있다고 한다(Reisman & Shorr, 1978). 친구관계의 발달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친구관계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Hartup, 1996). 즉 친..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변화 사춘기의 생물학적 변화로 인한 신체적 성숙은 모든 문화권의 모든 청소년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사춘기의 변화 역시 그 변화가 일어나는 환경이나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사춘기의 변화를 경험하는 청소년이 어떤 시대에 살고 있는가 또는 어떤 사회계층에 속해 있는가 등에 따라 신체적 성숙의 정도에는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 나라 청소년들의 초경 연령은 대개 12, 13세 정도이지만, 뉴기니아의 Lumi족의 일반적인 청소년 초경연령은 18세(Eveleth & Tanner, 1976)로서 차이가 있다. 신체적이고 성적으로 성숙됨에 따라 청소년들은 자신에 대해서 아동기와는 다르게 생각하게 되며, 주위에서도 이들을 과거와는 다르게 대우하게 된다. 이..